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한국은행4

032 - 미국, 또 다시 금리 인상! 한국 기준금리와 차이는 역대 최고 5.3(현지시간)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 ‘이하 연준) 기준금리를 0.25%p 인상하면서 기준금리 5.25%가 되었다. 현황 연준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면서 한국과 미국의 금리 격차가 역대 최대 수준인 1.75%p까지 벌어졌다. 이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가 오는 25일 기준금리를 어떻게 정할지가 관심이 쏠린다. 전문가들에 의하면 한, 미 금리차가 최대치를 갈아 치웠지만 미국의 긴축 사이클이 막바지란 기대가 일면서 한국은행이 금리를 인상할 유인이 줄었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국내 경기와 글로벌 반도체 업황까지 침체된 점도 금리를 쉽사리 올릴 수 없는 이유이다. 한편 성명에서는 이번 금리인상이 마지막일수도 있다는 점을 넌지시 내비치기도 했다. 기존에는 추가 금리인상이 적절할 수 .. 2023. 5. 6.
021 - 계속 올라가는 금 가격, 사상 최고가 눈앞!! 대표적인 안전자산 금 가격이 2년 전 역대 최고치에 가까워졌다. 현황 국내 금 가격이 연일 오르면서 2년 전 역대 최고치에 가까워졌다고 한다. 시장 전문가들에 의하면 물가가 계속 올라감에 따라 돈의 가치는 떨어지면서 상대적으로 금의 가치가 오른다고 지적했으며, 동시에 경쟁 안전자산인 국채 가격이 치솟아 국채 대신 금을 찾는 투자자가 늘어난 다고 분석했다. 금 가격은 지난해 말(1,824.02달러) 대비 12% 정도 오른 상태이며, 지난 4일 2천 달러 선 돌파 이후 10~11일 장 중 한때 2천 달러를 하회하기도 했지만, 이후 다시 상승하며 역대 최고가인 '20. 09월의 2,075.47달러에 다가가고 있다.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 WSJ )에 따르면 최근의 소비자 물가지수 상승률 둔화에도 시장에서 .. 2023. 4. 14.
020 - 두 번 연속 기준금리 동결, 은행 예금금리는 하락? 한국은행은 11일 금융통화위원회 본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3.5%로 두 번 연속 금리를 동결했다. 현황 한국은행은 '21년 8월부터 올해 1월까지 1년 반 동안 총 10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3%를 인상했다. 전년 4월부터 금년 1월까지 사상 첫 7회 연속 금리 인상과 두 차례 빅 스텝( + 0.5% p) 인상이라는 진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그리고 금년 2월 기준금리를 1년 만에 동결 후 두 번 연속 금리를 동결 결정이 이뤄짐에 따라 한국은행의 "금리 인상기"가 사실상 종료된 것이 나느냐라는 의견들이 나온다. 11일 기준금리를 두 번 연속 동결한 직후 기자들과의 간담회에서 "시장의 금리 인하 기대가 과도하다 "라고 거듭 강조했다. 한국은행의 긴축 기조를 유지하고, 금리 인하 기대를 늦추려는 스탠스를 유.. 2023. 4. 14.
012 - 역대 최대, 한국 · 미국 기준 금리차 1.5%p 미국 중앙은행 연방 준비제도( Fed )가 22일( 현지시간 ) 기준금리를 0.25%p, 베이비 스텝을 밟았다. 한 · 미 금리 역전 폭이 역대 최대인 1.5%p로 벌어졌다. 이에 따른 소식과 한국 입장에서 미국과의 금리 차이 발생 시의 장 · 단점을 알아보자. '기준금리' 란? 기준금리란, 중앙은행이 경제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정한 금리를 말한다.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조절하여 인플레이션( 물가 상승 )이나 디플레이션( 물가 하락 ) 등 경제의 안정을 유지하려고 한다. 기준금리가 높으면 대출금리도 높아져서 경제 활동이 어려워지고, 물가 상승률이 낮아진다. 반대로, 기준금리가 낮으면 대출금리도 낮아져서 경제 활동이 쉬워지고, 물가 상승률이 높아진다. 이러한 이유로 기준금리는 국민 경제생활에 큰 영향.. 2023. 3. 25.
반응형